foreverk.net
제 목 DVD-관련사항
섬네일
내용

1. DVD-R

DVD-R은 CD-R과 동일한 유기 안료 고분자(organic dye polymer) 기술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DVD 드라이브 및 플레이어에 호환이 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1세대의 용량은 3.9GB이었으며 이후 4.7GB로 확장이 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면서 DVD-R은 두가지 포맷으로 나뉘어 졌는데 하나는 "authoring" 버전과 또하나는 "general" 버전으로 나누어졌다. DVD-R(G)은 가정용으로 기획되었으며 반면에 DVD-R(A)은 전문적인 용도로 기획되었다. DVD-R(A) 미디어는 DVD-R(G) 드라이브에서 기록되지 않으며, 반대로 DVD-R(G) 미디어도 역시 DVD-R(A) 드라이브에서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버전 모두 DVD 플레이어나 DVD-ROM 드라이브에서는 대부분 읽혀진다. 기록 파장이 다르다는 것외에 DVD-R(G)은 Decrementing pre-pit addresses, Pre-stamped 또는 Pre-recorded control area,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을 이용한다는 것과 그리고 양면 디스크를 허용한다는 등의 차이를 보인다.

2. DVD-RW (Digital Versatile Disc ReWritable)


DVD-RW는 상변이 삭제 가능한(Phase-change erasable) 포맷 기술을 사용한다. 이기술은 DVD-R을 기초로 해 Pioneer사에 의해 발전되었는데, DVD-R과 비슷한 트랙피치(트랙의 가운데 선 사이의 거리), 마크 길이, 로테이션 컨트롤을 사용하기 때문에 DVD-RW는 대부분의 DVD 드라이브와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하다. DVD-RW는 기록하는 시간에 동기화를 위해 land 영역에 주소 정보를 가진 groove에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용량은 4.7GB이며 DVD-RW는 약 1,000번 정도 재기록할 수 있다

디스크 구성
DVD-RW을 외관상으로만 보면 동일한 상변화 기록 방식을 이용하는 CD-RW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실제로 내부 구조 또한 기록 용량을 높이기 위해 트랙 간격과 기록 마크 크기만 작아졌을 뿐 층/재료 구조도 거의 동일하다. 다만 디스크 구동 방식면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DVD-RW도 CD-RW와 동일한 Groove Only기록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기록 트랙의 미세한 위치변동(Wobble)을 통해 Addressing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D-RW와 달리 DVD-RW는 기록하지 않는 Land영역에 LPP(Land Pre Pit)라는 Pit가 존재하여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된다. 이러한 Land Pre Pit는 DVD-RAM의 Header 또는 Sector Mark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3. DVD-RAM (Digital Versatile Disc Random Access Memory)


DVD-RAM은 1997년 미국 등 선진국 10개사가 발표한 통일 규격으로 기존에 재생만이 가능한 DVD-ROM 또는 DVD-Video와는 달리 미기록 상태의 저장용 미디어의 하나로서 약 10만회 가량의 반복 기록이 가능하다.

초기에 저장 용량이 2.6G였던 DVD-RAM은 v2.0으로 올라가면서 4.7G로 늘어났으며 일부 MO기능이 혼합되어 있는 상변이(phase-change, PD)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DVD-RAM은 결점 관리(Defect management)와 빠른 액세스를 위해 띠모양으로 구분된 CLV 포맷이 사용되기 때문에 컴퓨더용 Writable DVD 포맷에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DVD-RAM은 결점 관리(defect management)와 반사율의 차이, 포맷의 미묘한 차이 때문에 대부분의 드라이브나 플레이어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DVD-RAM의 외관은 이전의 CD 패밀리 계열의 디스크나 DVD-ROM과는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레이저 입사면의 색상면에서 DVD-RAM은 상변화 기록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CD-ROM이나 DVD-ROM과 같은 재생 전용 디스크보다 어두운 색을 띄게 된다. 즉 동일한 상변화 기록 방식을 이용하는 CD-RW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DVD-RAM은 레이저 입사면 표면에 아주 미세한 직사각형 모양의 무늬가 전영역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분포하고 있는데, 이 무늬는 Header 또는 Sector Mark라고 불리워 지는 것으로 디스크의 각 위치별 Sector에 대한 어드레싱 정보 및 기타 정보를 갖고 있다.

4.DVD+RW


DVD+RW는 CD-RW 기술을 기본으로 한 재기록 가능한 포맷이며 2001년 초에 출시되었다. DVD+RW 진영에는 Philips, Sony, Hewlett-Packard등이 지원을 하고 있으며 현재 DVD Forum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을 하고 있지 않다.

DVD+RW 드라이브는 DVD-RAM 디스크를 제외한 DVD-ROM, CD, DVD-R, DVD-RW도 읽을 수 있다. 참고로 DVD+RW 디스크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DVD 비디오 플레이어와 DVD-ROM 드라이버들 중에서 약 70%정도에서 읽을 수 있다고 한다.

DVD+RW 포맷은 linking sectors를 제거하도록 허용해주는 high-frequency wobbled groove을 가진 상변이(phase-change)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 기술은 무결점 관리 옵션과 더불어 DVD+RW 디스크가 현존하는 많은 DVD readers와 호환성을 제공한다.

2002년 8월 8월에 DVD+RW 얼라이언스는 쓰기 속도가 4배속인 DVD+R규격과 직경 8cm의 DVD+RW/+R미디어 규격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배속 DVD+R규격을 지원하는 DVD 레코더와 데이터 드라이브의 기록 속도는 44Mbps가 된다. 이는 DVD+R 디스크 전면을 15분 이하로 기록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올해 안에 동일한 기록 속도인 4배속 DVD+RW 규격에 대해서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참고로 직경 8cm의 DVD+RW/+R미디어 규격은 12cm의 디스크와 동일하게 기존의 DVD-ROM 드라이브나 DVD 플레이어와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디스크 용량은 1.46GB이다.
DVD+RW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면 4.7GB 용량
양면 9.4GB 용량
노출된 디스크 사용 - 카트리지 불필요
650nm 레이저
Constant linear data density
CLV 및 CAV 레코딩
DVD-Video 1x~2.4x 배속 레코딩
결점관리
퀵 포맷
DVD-ROM과 동일한 8-16 변조 및 RS 코드 사용
레코딩 : (순차적인 그리고 랜덤 레코딩, 32kB ECC 블럭, Lossless linking)
주소 정보 : (radial wobble (32T period)의 나선형의 groove , 상 변조 주소, 32kB의 ECC 블록 당 4개의 주소)

5.DVD+R


이제 DVD+R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2002년 중반에 등장한 DVD+R은 DVD+RW에서 한번만 쓰기가 가능하도록 변형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DVD+RW가 CD-RW와 같은 상변화형기록 방식인데 대해, DVD+R는 CD-R와 같은 색소형 기록 방식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신호를 읽어낼 때의 반사율이 보다 DVD-ROM에 가깝게 되어 DVD-R처럼 더욱더 높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초기 DVD+RW 드라이브는 DVD+R 쓰기 지원을 추가하기 위해 손쉽게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을지 약속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근래에 출시된 DVD+RW는 아무런 문제없이 DVD+R을 지원한다.

DVD-R과 DVD+R의 차이점은 Write At Once로 기록했을 경우 DVD-R과 DVD+R의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멀티 세션으로 쓰기 작업시에 DVD-R의 경우 지원이 되지 않지만 DVD+R는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앞으로 DVD-R도 지원될 가능성은 있지만 규격 사양상, 기존의 데이터와 덧붙여 쓴 데이터와의 사이에는 Gap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이 DVD 플레이어로에서 재생했을 때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DVD+R에서는 덧붙여 쓰기를 했을 경우에도 Gap이 발생하지 않아 덧붙여 쓰기 작업시에는 DVD+R가 좀더 높은 메리트를 제공한다

출처
참고URL -
작성일 2010-06-12 16:35 조회수 49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