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verk.net
제 목 라이센스
섬네일
내용

BSD 라이센스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Licens]

 

캘리포니아 대학이 관장하고 있는 공개 라이선스 및 라이선스 문장. 유닉스(Unix) 의 양대 뿌리 중 하나인 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배포하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이다. GNU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일반 공중 라이선스(GPL)보다 훨씬 개방적인 4개항의 간단한 문구로 되어 있다. 그동안 sendmail을 비롯하여 수 많은 인터넷 관련 소프트웨어의 소스나 바이너리가 BSD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발전에 기여한 바 크다. 이러한 정신은 FreeBSD, NetBSD, OpenBSD, BSDi 등 파생된 라이선스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FreeBSD

 

NetBSD와 함께 BSD계의 PC-UNIX.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UCB)의 윌리엄 졸리츠, 린 졸리츠 교수 부부가 개발한 386 BSD라고 하는 운영 체계(OS)가 기본이다. 미국 유닉스 시스템 래버러토리스(USL)와 UCB 간에 BSD 소스 코드 허가에 관한 권리 분쟁이 있었으나, 그 후 화해하여 허가에 저촉되지 않는 4.4 BSD-Lite라는 OS의 발매물이 발표되었다. FreeBSD 2.0 이후의 발매물은 이것을 바탕으로 실장되어 있다.

FreeBSD(프리 비에스디)는 BSD 계열의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FreeBSD는 NetBSD, OpenBSD, BSDI와 함께 버클리 CSRG(Computer Systems Research Group)의 마지막 작품인 4.4BSD-Lite2를 기초로 개발되었다.

FreeBSD는 현재, 인텔 X86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DEC 알파, UltraSPARC, 아이테니엄(IA-64), AMD64 및 파워PC, 심지어는 PC-98등의 아키텍처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머지않아 ARM과 MIPS 등의 아키텍처도 지원할 예정이다.

커널을 개발하는 공동체와 그밖의 유틸리티를 개발하는 공동체가 GNU 프로젝트로 나누어진 리눅스와 달리, FreeBSD는 커널을 포함한 거의 모든 운영체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CVS를 이용하는 하나의 공동체에 의해 개발되고있다. 일반적으로 FreeBSD는 사람들에게 안정적이고 튼튼한 운영체제로 인식되고 있다.

 

NetBSD

 

386BSD를 근거로 한 BSD계의 PC-UNIX. 시스템의 안정도를 우선으로 한 FreeBSD에 대해 선진적인 기능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실험적 운영 체계(OS)로 차별화하고 있다. FreeBSD와 통합된다는 견해가 있었으나 결국 NetBSD는 독자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대응 플랫폼도 FreeBSD와 마찬가지로 많아서 매킨토시(68k)나 선 마이크로시스템스사의 SPARC Station 등이 있다.

 

OpenBSD

 

OpenBSD는 NetBSD에서 파생된 BSD 계열의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OpenBSD는 컴퓨터 보안쪽으로 특화되어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프로젝트는 Theo de Raadt가 이끌고 있다.

OpenBSD의 개발자들은 보안을 위해 소스코드를 한줄 한줄 검사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으며, 보안이 문제가 되는 부분들은 자체적인 구현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유명한 예로 OpenSSH와 OpenSSL, OpenNTPD 등이 있다.

다른 한가지 OpenBSD가 다른 오픈소스 운영체제들과 특화를 보이고 있는 것은, 어떠한 오류가 발생할지도 모르고,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직접 수정할 수 없는 바이너리 blob을 거부한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운영체제들이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은 여러 그래픽카드와 네트웍카드를 지원하기 위해 업체가 제공하는 바이너리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는 반대로, 필요한 하드웨어의 드라이버를 업체에 스펙 문서를 요구하거나 직접 역엔지니어링을 하거나 혹은 다른 운영체제에서 구현한 드라이버 소스를 참고로 하여 개발하여 제공한다. 이것은 OpenBSD를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해준다.

OpenBSD가 가장 널리 쓰이는 부분은 네트웍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와 방화벽이라 할 수 있다. 유연하고 강력한 패킷필터링 도구인 pf가 이부분에서 상당한 공로를 하고 있는데, 이 패킷필터는 같은 BSD 계열인 FreeBSD와 NetBSD 뿐만 아니라 리눅스에도 포팅되어 있다.

출처
참고URL -
작성일 2010-07-18 08:35 조회수 62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