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verk.net
제 목 過猶不及 ( 과유불급 )
섬네일
내용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마찬가지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마찬가지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면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말까지 나오게 된다. 출전은 《논어》 「선진(先進)」편.

過 : 지나칠 과
猶 : 같을 유
不 : 아니 불
及 : 미칠 급


어느 날 자공(子貢)이 스승 공자에게 물었다.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둘 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모자란다.」
「그렇다면 자장이 더 낳겠네요?」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마찬가지다.」
이 일화는 자장(子張)과 자하(子夏)의 대조적인 성격 때문에 나온 것인데, 두 사람의 성격을 말해주는 일화가 《논어》에 나온다.
어느 날 자장이 공자에게 물었다.
「선비로서 어찌해야 통달한 사람(達)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네가 말하는통달 이 무엇을 말하는 것이냐?」
「제후를 섬기면 기필코 명성을 날리고, 경대부의 신하가 된다 해도 이름이 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건 명성(聞)이지통달 이 아니다. 성격이 바르고 정의를 좋아하며, 말과 안색을 통해 상대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항상 신중히 생각하면서 남에게 공손한 사람, 그리하여 제후를 받들든 경대부의 신하가 되든 잘못되는 일이 없는 사람을<통달한 사람>이라고 한다.
「안연(顔淵)」편
공자가 자하에게 말했다.
「너는 군자유(君子儒)가 되어야지 소인유(小人儒)가 되어서는 안된다.」
「옹야(擁也)」편
이 두 일화에서 보듯이, 자장은 매사 적극적이면서도 과시욕이 강한 성격이며, 자하는 사소한 형식에 얽매이는 소극적인 성격임을 알 수 있다. 공자는 이 두 제자의 성격, 즉 자장의 지나침(過)과 자하의 모자람(不及)을 빤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고 하여 중용을 촉구한 것이다.
출처
참고URL -
작성일 2010-04-24 18:54 조회수 1665
목록